9.09.2014
present
"We never keep ourselves to the present moment. We look forward to the future as too slow in coming, as if to hasten its arrival, or we remember the past to hold it up as if it had happened too quickly. We are so undiscerning that we stray into times which are not our own and do not think of the only one that is truly ours, and so vain that we dream about those which no longer exist and allow the present to escape without thinking about it. This is because the present usually hurts us. We hide it from sight because it wounds us, and if it is pleasant then we are sorry to see it pass. We try to buttress it with the future, and think of arranging things which are not in our power for a time we cannot be at all sure of attaining.
Everyone should study their thoughts. They will find them all centred on the past or the future. We almost never think of the present, and if we do it is simply to shed some light on the future. The present is never our end. Past and present are our means, only the future is our end. And so we never actually live, though we hope to, and in constantly striving for happiness it is inevitable that we will never achieve it."
대전에도 일명 '까페거리' 같은 것이 많이 생겼다. 지난주 부모님 댁에 내려온 이후 가까운 까페거리에 위치한 한 커피집을 찜하고는 매일같이 도장을 찍고 놀고 있는 중이다. 이 거리에 안타까운 점이라면 까페 두 건물마다 하나꼴로 빙수 전문집을 발견하게 되는데, 올해 빙수계에 태풍을 몰고 온, 사계절을 품었다는 모 브랜드사의 이층짜리 건물이 생긴 이후 다른 모든 빙수집들이 때늦은 파리만을 날리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 이 순간이 좋다는 얘기를 하려고 했다. 적당히 배부르고, 좋은 음악을 귀에 꽂고 있고, 이 공간에 머금고 있는 오후 5시 반 경의 빛의 정도와 색이 좋고, 마시고 있는 커피도 식상하지 않다. 빨간 날이 끝나는게 아예 아쉽지 않다고 하면 거짓말이겠지만, 푹 쉬고 많이 자고 골고루 먹을 수 있어 감사했고 내일이 그렇게 빨리 오거나 늦게 오는 것 같지 않다. 이런 여유가 평소 일상에서도 그렇게 멀리 있는 게 아니니 나는 그것도 참 좋다.
7.07.2014
the limit
"When something seems impossible to obtain despite every effort, it is an indication of a limit which cannot be passed on that plane and of the necessity for a change of level - a break in the ceiling. To wear ourselves out in efforts on the same level degrades us. It is better to accept the limit, to contemplate it and savour all its bitterness."
어딜 나가지않고 종일 집에 있었다. 그냥 그러기에 좋은 날이었다.
적어두지 않는다고 생각이 어디 가버리는 건 아니다.
적어둔다고 생각이 고히 잠드는 것도 아니다.
6.08.2014
post oxford syndrome
그래가지고 나는 이런 곳에 가 조금 살다 왔는데 그 다음이 어쩐지 어정쩡하다. 그곳에서도 현실이었고 돌아온 이곳에서도 현실을 사는 것일텐데 왜 이렇게 다르지 싶다. 몇 주만에 다시 훌렁 돌아갈 수 있을거라 생각하고 훌렁 들어와버렸는데 그게 그렇게 어려운 거였단다.
꼭 나를 위해 신이 마련해 주신 거라고 생각한 포스트도 그것이 아니었음을 최근에 밝혔고 홧김에 쑤셔본 곳들에서도 홧김에 쑤시지 말라는 통보를 받았다. 눈을 깨끗이 닦아, 전에도 있었고 지금도 그대로인 일을 새롭게 볼 수밖에 없나 싶기도 한데, 왠지 주저앉는 느낌이라 내적 갈등이 있다. 그렇지만 어딜가나 머물거나 나는 나다.
2.11.2014
Recomposed by Max Richter: Vivaldi's Four Seasons
몇 년 만에 CD를 구입했습니다.
아직 이렇게 찾아 듣고 싶고, 주문해서 간직하고 싶은 음악이 간혹 있다는 것.
감사한 일입니다.
1.26.2014
Ketil Bjørnstad : Svante Henryson_Visitor
몇 주 전부터 잠들기 전 한번씩 듣고 자게 되는 곡이다.
Subscribe to:
Posts (Atom)